2023년부터 시작된 부모급여 지급일은 매월 25일마다 70만 원 또는 35만 원이 지원되고 있습니다. 😄2024년부터는 대폭 확대되어 100만원 또는 50만 원으로 증액이 되었는데요.
부모급여 이외에도 출산 관련지원 정책으로 🌈아동수당과 🌈국민행복카드 바우처도 있으니 꼭 신청해 보시기 바랍니다. 다음의 내용들도 참고하셔서 모두 신청해 보세요.
지금부터 부모급여의 지급 대상자와 지급기간 등의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부모급여 지원금은?
출산이나 출산 이후 아동의 양육활동으로 경제적인 지출이 늘어나는 부분을 정부에서 직접적인 금전적 지원으로 가정에서 부모와 아이가 함께 할 수 있는 시간을 보장해 주는 정책입니다.
2023년인 올해부터 시행을 시작한 부모급여는 만 0세에서 만 1세의 아동에게 지급됩니다. 아동이 만 0세일때와 만 1세일 때의 지원금액을 차등지급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부모급여가 다른 지원정책들과 다른 점으로 소득인정액의 기준이 없기 때문에 신청자의 소득과 무관계 없이 만 0세에서 만 1세의 아동이 있는 가정이라면 누구나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부모급여 지원금 알아보기
부모급여 지원금은 2022년 이후 출생한 아동이 적용되며 2021년 이전 출생 아동은 아쉽게도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2023년까지는 기본적으로 만 0세 전까지 월 70만 원, 만 1세 전까지 35만 원이 지원됩니다. 어린이집 이용 시 월 바우처의 형태로 지급되고 부족한 차액은 현금으로 지급됩니다.
😊2024년부터 지원금 규모의 확대로 월 100만 원, 50만 원으로 대폭 상향조정 예정입니다. 출산을 앞두고 있는 예비 부모님에게는 정말 반가운 소식입니다.
2023년 부모급여 지급 기준
- 만 0세가 되는 아동 : 월 70만 원 지원
- 만 1세가 되는 아동 : 월 35만 원 지원
2023년 어린이집 이용 부모급여 지급 기준
- 만 0세가 되는 아동 : 월 바우처 514,000원 + 현금 186,000 지원
- 만 1세가 되는 아동 : 월 바우처 514,000원
- 종일제 아이 돌봄으로 지원받는 경우 : 지원금액에 따라 부모급여 또는 종일제 아이 돌봄 지원중 선택해 신청
2024년 부모급여 변경 지급 기준
- 만 0세가 되는 아동 : 월 100만 원 지원
- 만 1세가 되는 아동 : 월 50만 원 지원
부모급여 신청하기
부모급여는 🚩방문신청 또는 🚩온라인으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 방문신청
- 아동의 부모 신청 : 전국 주민센터 신청가능
- 아동의 부모가 아닌 경우 신청 : 아동의 주민등록상 주소지의 주민센터 방문 신청
- 온라인 신청
부모급여 지급일 및 신청유의 사항
📆부모급여는 2022년 1월 25일(수)부터 신청할 때 등록한 해당 계좌로 매월 25일 지급됩니다. 만약 신청이 늦어져 신청한 달의 25일에 받지 못했다 하더라도 다음 달 25일에 같이 받을 수 있습니다.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가정은 부모급여의 도입에 대한 불편 또는 혼선을 최소화하기 위해 바우처로 지급되고 만 0세까지 발생되는 차액은 매월 25일 현금으로 추가 지급됩니다.
부모급여의 지급일은 언제까지 받는지도 중요합니다. 만 23개월이 되는 달까지 지급되므로 출생 연도의 다음 해 생일이 되는 전달까지 지급되는 것으로 이해하면 편합니다.
📆부모급여의 신청은 아동의 출생일을 포함해 60일 이내에 신청이 필요합니다. 만약 아동 생후 60일이 지나 신청한다면 신청일이 속한 달부터 지급되고 이전 부모급여는 받을 수 없습니다.
최대한 많은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아동의 생후 60일 이내에 꼭 신청하셔서 누락되는 경우가 없으시기 바랍니다.
댓글